본 포스팅 내용은 라즈베리파이를 LCD나 외부 모니터 없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입니다.필요한 준비물은 컴퓨터 + 라즈베리세트 + 공유기 입니다. 일단 컴퓨터와 라즈베리파이를 같은 공유기에 연결해 줍니다. 라즈베리파이의 라즈비안을 부팅하고 로그인을 해줍니다.그리고 pi@raspberrypi ~ $ 에서 ifconfig 를 입력해 줍니다.( 윈도우의 IP확인 명령어인 ipconfig 와는 다르게 f가 p대신 들어갑니다 ) 그러면 위 표시한 부분처럼 라즈베리파이의 IP가 표시가 됩니다.기억해 주세요 ㅎ 위 파일을 다운받아 줍니다. 그리고 다운받은 경로로 이동하면 이런 프로그램이 있을겁니다. 실행해 주세요 ㅎ 실행후 위 빨간색 글씨로 써진 부분에 IP를 입력해 줍니다. 그 다음 아래 Open 버튼을 ..
지난 포스팅에서 라즈베리파이의 라즈비안OS 기본설정을 했었습니다. 이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해 보기위해 부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역시나 부팅을 위해서 마이크로USB를 연결해 줍니다. ^^ 화면캡쳐를 위해 컴퓨터 TV수신카드의 콤포지트를 이용하여 출력하였습니다.영상으로는 볼만하지만 캡쳐를 하니까 색이 이상해 보이네요 ㅜ 전원을 넣는순간 부팅이 되는 모습니다.다양한 파일들을 읽어서 부팅을 시작합니다.기다려 보지요 ㅎ 부팅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이름과 패스워드를 물어봅니다.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름과 패스워드는 이름 : pi 패스워드 : raspberry 입니다.그대로 입력해 줍시다 ㅎ 정확히 입력을 했다면 맨아래 pi@raspberrypi ~ $ 라는 부분이 뜰겁니다.앞으로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..
지난 포스팅 http://bjun119.tistory.com/22 에서 라즈베리파이의 대중적인 리눅스OS 인 라즈비안은 SD카드에 설치해 보았습니다. 이제 초기설정을 해볼께요 ㅎ 일단 라즈베리파이에 OS가 설치된 SD카드를 마운트 하고 USB키보드, 랜선, 모니터 연결을 위한 HDMI 혹은 컴포지트를 연결합니다.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이크로USB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부팅이 시작됩니다.(전원이 없으면 바로 종료되니 꼭 전원을 유지해 주세요.) 처음 전원을 넣으면 이런 화면이 나오면서 부팅이 시작됩니다.(콤포지트를 이용하여 화면을 출력하다보니 사진이 깔끔하지는 않네요 ㅎ) 기다리다보면 이런 화면으로 전환이 됩니다.여기에서 설정을 위해4 Internationalisation Options 로 화살표로 이동한뒤 ..
라즈베리파이에는 OS를 설치할 메모리가 없어 SD카드를 이용 OS를 설치후 부팅을 해야합니다. 따라서 이 포스팅에는 가장 널리사용되는 라즈베리파이의 OS인 라즈비안의 설치방법에 대해서 다루고자 합니다. 필요한 준비물은 아래와 같습니다. 1. 충분한 용량의(4기가이상) SD카드2. SD카드 리더기3. 컴퓨터(윈도우 기준으로 설명) 위 준비물이 모두 준비가 되었다는 가정하에 설치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. 위에 첨부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SD메모리를 깔끔하게 포멧해 줍니다. 그다음 라즈베리파이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.http://www.raspberrypi.org/downloads/위 주소를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.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위와 동일한 부분을 볼수있습니다.왼쪽 DOWNLOAD Torrent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한성컴퓨터
- 리뷰
- 케이스
- 한성
- 개봉기
- 빈민에어
- 블루투스
- 아이폰
- 폰트리
- 프로젝터
- 태블릿
- 라즈베리파이
- 중국
- 태블릿 PC
- 컴퓨터
- 라즈비안
- 윈도우
- 힐링쉴드
- 윈탭
- u33x
- 듀얼코어
- 아이뮤즈
- 애플
- 샤오미
- 노트북
- 미북에어
- 빔프로젝터
- 보호필름
- 알리익스프레스
- 인민에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